주식시장에서는 주가가 일정기간 동안 상승하다가 하락 추세로 전환되는 시점을 ‘데드크로스’라고
합니다. 이 때 주가는 기존 고점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드크로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데드크로스(Dead Cross)란 무엇인가요?
데드크로스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로 뚫고 내려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5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하면 이를 데드크로스로 봅니다. 반대로 골든크로스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위로 뚫고 올라가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이렇게 되면 투자자들은
매수 신호로 받아들입니다.
데드크로스가 발생하면 무조건 팔아야하나요?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실제로 데드크로스가 발생했다고 해서 해당 종목을 모두 매도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기술적 분석상으로는 좋지 않은 신호이기 때문에 매매 시 주의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집니다.
특히 최근과 같이 변동성이 큰 장에서는 더욱 조심해서 접근해야 하는데요. 하지만 모든 지표가 항상 맞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데드크로스 발생시 급등하는 종목도 있나요?
네, 물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데드크로스 자체만으로는 반드시 나쁜 신호만은 아닌데요. 오히려
좋은 신호인 골든크로스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오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먼저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장대양봉이 출현한다면 주목해볼
만 합니다. 또한 대량거래 없이 횡보하던 주가가 갑자기 크게 오른다면 역시 관심을 가져볼 만 한데요. 이때
바닥권에서 거래가 터지면서 양봉이 나온다면 더더욱 좋습니다. 단, 세력주의 경우라면 속임수 패턴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유의해야 합니다.
마치며
오늘은 데드크로스라는 용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위 내용을 참고하셔서 앞으로 시장상황에 맞게 대응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각종 정보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토캐스틱(Stochastic Fast & Slow)에 대해서 (1) | 2024.01.23 |
---|---|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에 대해서 (0) | 2024.01.22 |
회사정보를 알 수 있는 공시에 대해서 (0) | 2024.01.10 |
IPO(Initial Public Offering)에 대해서 (2) | 2023.12.31 |
ETN(Exchange Traded Note)에 대해서 (2) | 2023.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