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에서는 수많은 지표들이 존재하는데요, 이 중에서도 주가 추세의 강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CCI(Commodity Channel Index)라는 지표가 있습니다.CCI란 일정 기간 동안 주가 변동폭 가운데
최고가와 최저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현재가로 나눈 수치입니다. 즉, 이동평균선의 기울기와 같은
개념이에요. 따라서 CCI 값이 0이면 ‘주가가 채널 안에서만 움직인다’는 뜻이고, 100이면 ‘주가가 채널
밖으로 이탈한다’는 의미입니다.
목차
CCI값이 왜 이렇게 중요한가요?
보통 우리나라 시장에서의 CCI지표는 +100 이상이면 과매수 상태라고 판단하며, -100 이하이면 과매도
상태라고 판단합니다. 하지만 미국 증시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기도 하는데요, 국내와는 달리 외국
증권사마다 조금씩 다르게 해석하기 때문에 투자자 입장에서는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정확하게 어떤 식으로 해석해야 하는지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CCI 보조지표 어떻게 활용하나요?
먼저 그래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지점은 상승추세임에도 불구하고 CCI지수가 하락하면서
매도 신호를 나타내고 있고, B지점은 하락추세임에도 불구하고 CCI지수가 상승하면서 매수신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C지점은 횡보국면이지만 CCI지수가 상승하면서 매수신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D지점은 하락
추세지만 CCI지수가 하락하면서 매도신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종목의 주가는 단기적으로는
등락을 반복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상승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CCI보조지표 언제 참고하면 되나요?
일반적으로 CCI 지수가 70~80 사이에 위치했을 때 매매 신호가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이론적인 분석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해서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경기 상황 등 외부 환경 변화나 기업 실적 악화 등 내부 요인까지도 모두 감안해야만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CCI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투자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각종 정보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상증자에 대해서 (0) | 2024.02.29 |
---|---|
유상증자에 대해서 (0) | 2024.02.25 |
보조지표 RSI(Relative Strength Index) 대해서 (0) | 2024.02.19 |
스토캐스틱(Stochastic Fast & Slow)에 대해서 (1) | 2024.01.23 |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에 대해서 (0) | 2024.01.22 |